[앵커멘트]
이동통신사와 휴대전화 제조사들이 단말기 값을 부풀린 뒤 보조금 지급을 통해 마치 많이 깎아주는 것처럼 소비자들을 속여왔다며 공정거래위원회가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업체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만 원에 이르는 휴대전화 단말기값, 하지만 보조금 제도에다 통신 서비스와 단말기 값을 나눠내는 바람에 소비자들은 가격 구조를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녹취:박수진, 서울 상계동]
"공장에서는 얼마에 출고가 되고 그래서 저희가 어떤 가격에 받는 것인지 정확히 밝혀졌으면 하는 바람이죠."
[녹취:김선우, 서울 시흥동]
"보조금이 지원된다고 해서 오히려 출고가가 높게 형성이 되는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어요."
공정거래위원회는 2008년부터 3년 동안 이동통신사와 휴대전화 제조사들이 휴대전화 가격을 부풀려 재원을 마련한 뒤 많이 깎아주는 것 처럼 소비자를 기만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이동통신 3사의 경우 44개 모델 출고가를 부풀렸습니다.
몇 만 원 차이가 안나던 공급가와 출고가 차이가 3년 동안 평균 22만 5천원에 이르렀습니다.
갤럭시 S의 경우 삼성전자 공급가는 63만 9천 원, SK텔레콤은 무려 31만 원을 더 얹어 출고가를 책정했습니다.
소비자가 보조금으로 평균 7만8천 원을 할인받았지만 예전처럼 물류비만 받고 출고가를 책정했더라면 더 싸게 전화기를 살 수 있었습니다.
휴대전화 제조 3사의 경우 보조금을 감안해 209개 모델 공급가를 부풀렸습니다.
공정위는 한 모델의 경우 해외 공급가는 25만 원 대인데 비해 국내 이통사에 대한 공급가는 56만 원대였다고 밝혔습니다.
공정위는 이런 휴대전화값 부풀리기와 보조금 마케팅으로 실질 소비자 구매가격이 올라갔다며 이동통신 3사와 제조 3사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53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녹취:신영선, 공정거래위원회 시장감시국장]
"이는 보조금 제도가 휴대폰 구입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실질적인 할인 제도라고 인식하는 소비자의 신뢰를 악용한 착시 마케팅에 해당합니다."
업체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판촉 비용이 가격에 반영되는 것은 휴대전화 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의 공통적인 현상으로 가격 부풀리기를 한 적 없다며 행정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http://www.ytn.co.kr/_ln/0102_201203152018162845
젠장 난 아직도 갤럭시 S 할부금 반년이나 남았는데 보상은???
1년 6개월 동안 잘 참고 있었더니 역시나 사기였어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족노조가…" 전원책 발언에 유시민 "그럼 우린 천민?"(머니투데이) (0) | 2014.01.02 |
---|---|
혹한 추위에 죽은 친구 지켜준 견공의 ‘우정’ 감동(서울TV) (0) | 2014.01.02 |
숙면 도와주는 신개념 수면마스크 등장 (0) | 2013.12.08 |
좋은 정부와 나쁜 정부의 가장 중요한 판별 기준 (0) | 2013.12.02 |
[영상] 나무 10여 그루 집어삼킨 '싱크홀'…무시무시(SBS) (0) | 2013.08.26 |
채널A 개그시대 관객 재탕 편집 (0) | 2012.02.06 |
2012 지구 멸망…‘행성 충돌설’부터 ‘꿀벌 멸종’까지(헤럴드 경제) (0) | 2012.02.05 |
또 돈 퍼줘? 통신사, 7년째 국민분노 테스트(조선비즈) (0) | 2012.02.03 |
주머니에서 나오는 집, 포켓 하우스 ‘화제’(POPNEWS) (0) | 2012.02.03 |
부산 지하철 표 (0) | 201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