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납입분부터 가정용 ㎥당 40∼140원 올라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서울시 수도요금과 통합 고지되는 하수도 요금이 이달 청구분부터 최대 21% 오른다.
서울시는 하수도요금을 이달 납기분부터 평균 15% 인상한다는 내용의 상하수도요금 고지서를 발송했다고 19일 밝혔다.
용도별 평균인상률은 공공용이 19%로 가장 높고 가정용이 15%, 일반용과 욕탕용은 14%이다.
가정용은 사용량에 따라 ㎥당 40∼140원이 올랐고 일반용은 90∼190원(12∼19%)이 인상됐다. 공공용과 욕탕용은 ㎥당 각각 90∼160원(19∼21%)과 40∼60원(14∼15%) 올랐다.
월 31㎥를 쓰는 가정이라면 하수도요금이 월 8천410원에서 9천700원으로 1천290원이 오르게 된다.
가정용 하수도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30㎥까지 ㎥당 300원, 30∼50㎥에 700원, 50㎥를 넘는 양은 1천70원이 적용된다.
하수도요금은 지난 2005∼2011년 동결됐다가 2012년부터 매년 한 차례 인상됐다.
서울시는 하수도 요금이 원가에 턱없이 모자라 인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하수처리 방류수질 기준강화, 재해방지를 위한 하수관 교체, 하수처리장 주변 악취방지 및 공원화사업으로 재정수요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기존 하수도요금은 처리 원가의 52%에 그쳐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tr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서울시 수도요금과 통합 고지되는 하수도 요금이 이달 청구분부터 최대 21% 오른다.
서울시는 하수도요금을 이달 납기분부터 평균 15% 인상한다는 내용의 상하수도요금 고지서를 발송했다고 19일 밝혔다.
용도별 평균인상률은 공공용이 19%로 가장 높고 가정용이 15%, 일반용과 욕탕용은 14%이다.
가정용은 사용량에 따라 ㎥당 40∼140원이 올랐고 일반용은 90∼190원(12∼19%)이 인상됐다. 공공용과 욕탕용은 ㎥당 각각 90∼160원(19∼21%)과 40∼60원(14∼15%) 올랐다.
월 31㎥를 쓰는 가정이라면 하수도요금이 월 8천410원에서 9천700원으로 1천290원이 오르게 된다.
가정용 하수도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30㎥까지 ㎥당 300원, 30∼50㎥에 700원, 50㎥를 넘는 양은 1천70원이 적용된다.
하수도요금은 지난 2005∼2011년 동결됐다가 2012년부터 매년 한 차례 인상됐다.
서울시는 하수도 요금이 원가에 턱없이 모자라 인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하수처리 방류수질 기준강화, 재해방지를 위한 하수관 교체, 하수처리장 주변 악취방지 및 공원화사업으로 재정수요가 꾸준히 증가했지만 기존 하수도요금은 처리 원가의 52%에 그쳐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tree@yna.co.kr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813744
'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노위 노사정소위, 근로시간 단축 논의…'입법화 시동'(머니투데이) (0) | 2014.03.19 |
---|---|
[단독] ‘먹튀 회장님’ 구치소 노역이 ‘일당 5억’?(한겨레) (0) | 2014.03.19 |
성관계 요구에 자살한 여군…“핵심 증거 육군이 숨겼다” (한겨레) (0) | 2014.03.19 |
中에 다 뺏기는 '동대문 상표'(한국경제) (0) | 2014.03.19 |
달라진 세법 이달부터 본격 적용…월급봉투 달라진다 (0) | 2014.03.19 |
이통사 막았더니 알뜰폰이… 보조금 ‘풍선효과’(국민일보) (0) | 2014.03.19 |
[단독]가스요금 하루 밀려도…年730% '이자폭탄'(종합)(노컷뉴스) (0) | 2014.03.19 |
서민 부담 가중시키는 4대보험 '연체료 폭탄'(노컷뉴스) (0) | 2014.03.19 |
생산자물가 17개월째 하락…'사상 최장 행진' (0) | 2014.03.19 |
"사이버司 정치관련글 3만여건…파악규모 2배 증가"(연합뉴스) (0) | 2014.03.19 |